건축 이론 세미나 1 / 박정현
이 세미나는 건축 이론의 핵심 텍스트를 미학과 철학 등 관련 텍스트들과 나란히 읽습니다. 이 독해는 서구 건축 이론의 정전을 회고적 시선으로 재확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건축 이론이 딛고 서 있는 토대를 밝히고, 보편적이라고 여겨져 온 이론의 역사적, 정치적 배경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삼습니다. 비트루비우스의 <건축십서>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체계로 읽어 고전주의의 의미를 재검토하고, 18-19세기에 불거진 텍토닉 논쟁을 관념론 미학과 견주어 읽음으로써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는 텍토닉에 대한 이해를 넓힙니다. 또 20세기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을 둘러싼 쟁점을 재조명해봄으로써, 지금까지 계속해서 반복되는 물음인 건축과 사회의 관계를 고민해봅니다. 이론에 대한 재독해는 현재에 대한 시선과 결코 무관하지 않습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만 건축 이론의 무효성, 건축의 비참조성을 주장하는 비정치적이면서 철저히 정치적인 최근의 입장에 비판적으로 개입할 수 있습니다. 수업은 강사의 강의와 참가자들의 강독으로 이루어지며, 건축사 및 문화사 등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전제합니다. (*강독 텍스트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강사 소개
박정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건축은 무엇을 했는가: 발전국가 시기 한국 현대 건축』을 비롯해 『김정철과 정림건축』(편저), 『전환기의 한국 건축과 4.3그룹』(이하 공저), 『중산층 시대의 디자인 문화: 1989~1997』 등을 쓰고, 『포트폴리오와 다이어그램』, 『건축의 고전적 언어』 등을 번역했습니다. 2018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국가 아방가르드의 유령》, 《Out of the Ordinary》(2015, 런던),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Cosmopolitan Look 1989~2019》(2019, 부다페스트) 등의 전시에 큐레이터로 참여했습니다. 현재 편집자 및 비평가로 활동하며 대학에서 강의하고 있습니다.
건축 이론 건축 이론 세미나 1
- 행사 유형: 유료, 오프라인
- 행사 일시: 2023년 1월 10일 오후 3:00
- 신청 시작: 2022년 12월 21일 오후 12:00
- 신청 종료: 2022년 12월 30일 오후 11:59
- 오프라인 정원: 20명 / 대기 정원: 5명
커리큘럼과 텍스트
*강독 텍스트는 변경될 수 있음.
1. 고전건축과 시학
서양 건축이론의 원점인 비트루비우스의 <건축십서>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통해 읽어본다. 랑시에르의 미학논의를 통해 근대 이전까지 건축이론서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한다. 최근 고전문헌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성과를 통해 로마 사회에서 건축과 <건축십서>의 위치를 살핀다.
- 비트루비우스, <건축십서> (기문당, 1992)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문예출판사, 2002) 다른 번역도 무방
- 알렉산더 초니스 & 리안 르페브르, <고전 건축의 시학> (동녘, 2007)
2. 텍토닉과 미학
최근 건축에서 가장 뜨거운 단어 중 하나인 텍토닉은 언제 어떤 맥락에서 등장했는지 추적한다. 이를 통해 텍토닉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시기의 특징을 되묻는다. 텍토닉이 중요해질 때 사라지는 것에 대해 생각해본다.
- Mitchell Schwarzer, German Architectural Theory and the Search for Modern Ident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pp. 167-214.
- 임마누엘 칸트,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3.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
20세기 건축이론은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이 남긴 유산과 잔해를 수습하는 것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포스트모더니즘 등 이후에 전개되는 논의를 따라가기 위해서, 최근의 탈식민논의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필수다.
- 페터 뷔르거, <아방가르드의 이론> (지만지, 2013)
- 할 포스터, <실재의 귀환> (경성대학교 출판부, 2010)
- 프레드릭 제임슨, <단일한 근대성> (창비, 2020)
- 디페시 차크라바르티, <유럽을 지방화하기> (그린비, 2014)
4. 새로운 사회의 실험과 건축
아방가르드의 대표적인 예로 소비에트 러시아의 건축 실험을 조명해본다. 러시아 구축주의가 1980년대 말과 최근에 다시 주목받는 이유를 찾아본다. 이론이 실천을 이끌었던 예외적인 시기를 통해 건축의 사회적 실천의 가능성과 한계를 묻는다.
- Boris Groys, The Total art of Stalinism: Avant-garde, Aesthetic Dictatorship, and Beyond (Verso, 2002)
- 타티야나 바디모프나 고랴체바, <러시아 아방가르드 이론과 실제> (지하출판소: 2021)
- 김수환, <혁명의 넝마주이> (문학과지성사, 2022)
수업 참가신청 안내
※ 참가신청이 모두 마감되었습니다.
- 대상: 대학(원)생
- 강사: 박정현(건축비평가)
- 구성: 사전과제(텍스트 읽기) + 강의/강독 + 문답
- 일정: 2023년 1월 10일 ~ 2월 7일 (4회)
- 시간: 화요일 오후 3:00~5:00
- 장소: 정림건축문화재단 라운지
- 오픈: 2022.12.21 오후 1:00
- 모집인원: 20인(*인원을 조금 늘렸습니다)
- 문의: kim@junglim.org / 02-3210-4991
- 기획: 박정현
- 참가비: 12만원
- 입금계좌: 하나은행 162-910015-89304 (정림건축문화재단)
- 2시간 내에 입급 바랍니다.
- 이후에는 신청이 취소될 수 있으며, 재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입금 확인, 등록 완료 안내는 개별적으로, 수시로 이루어집니다.
※ 이 수업은 기존 참가신청 양식 대신 아래 구글폼 링크를 통해 신청받고 있습니다.